우리나라 갯벌, 연간 승용차 11만 대가 배출하는 온실가스 흡수

  • 조한열
  • 발행 2021-07-06 05:06

서울대 ( 김종성 교수 ) 연구팀이 국가 차원에서 우리나라 갯벌의 탄소흡수 역할 및 기능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고 , 그 연구결과 를 국제저명학술지인 < 종합환경과학회지 (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

해양수산부는 갯벌의 블루카본 흡수량 및 범위 등을 전반적으로 파악 하기 위해 2017 년도부터 ’ 블루카본 정보시스템 구축 및 평가관리기술 개발연구 ( 주관 : 해양환경공단 )‘ 를 지원해오고 있으며 , 서울대 김종성 교수 연구팀은 이를 통해 우리나라 갯벌의 탄소흡수력을 규명하고 , 우리 나라 연안습지의 블루카본 국가목록 ( 인벤토리 ) 구축에 필요한 연구들을 추진해 왔다 .


▲ 순천만
  

▲ 전남 신안군 지도읍 탄동리

김 교수 연구팀은 지난 4 년간 (2017~2020) 전국 연안의 약 20 개 갯벌 에 서 채취한 퇴적물을 대상으로 총유기탄소량과 유기탄소 침적률을 조 사 한 후 , 인공위성 촬영 자료를 활용한 원격탐사 기법 * 을 통해 전국 단 위의 연안습지  내 블루카본과 온 실가스 흡수량을 평가하였다 .

그 결과 , 연구팀은 우리나라 갯벌이 약 1,300 만 톤의 탄소를 저장하고 있으며 , 연간 26 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 이는 연간 승용차 11 만 대가 내뿜는 수준으로 , 막대한 양의 이산화탄소를 갯벌이 자연적으로 흡수한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 특히 이번 연구는 그간 국제사회에서 연안습지 중 블루카본으로 주목받지 못한 갯벌의 이산화 탄소 흡수 잠재량을 국가 차원에서 전국적으로 조사한 세계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

한편 , 전 세계적으로 국가 단위에서 해초류 , 염습지 , 맹그로브 를 대상으로 연안습지가 보유한 블루카본 잠재량 및 연간 온실가스 흡수량을 보고한 국가는 현재까지 미국 , 호주뿐이다 . 때문에 , 이번 연구는 세계 학 계에서 갯벌을 포함한 연안습지의 블루카본 산정역량을 인정받았다는 데도 의의가 있다 .

2013 년에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 (IPCC) 습지분야의 온실 가스 산정지침 작성을 주도한 캐나다 맥길 대학의 게일 쉬무라 교수 등 국제 학계에서도 그간 해양수산부의 갯벌 블루카본에 대한 선도적 연 구에 대 해 큰 관심과 기대감을 피력해 왔다 . 따라서 , 이번 연구결과는 갯벌 블루카본 연구를 선도하고 향후 관련 연구의 국제적인 관심과 활 성화에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도 그 의미가 매우 크다 .

김종성 교수는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전 세계적 노력의 일환으로써 우리나라가 갯벌의 역할을 세계 최초로 과학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이 고무적이며 , 갯벌 블루카본이 탄소감축원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지속 적 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국제사회와 우리나라의 2050 탄소중립 목표 달 성에 앞장서겠다 .” 라고 소감을 밝혔다 .

해양수산부 는 해양부문 탄소중립을 위해 갯벌 , 염습지 등에서 지속적 으로 갯벌복원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 2022 년부터는 갯벌에 염생식물을 조성하는 사업을 신규로 추진하여 이산화탄소 흡수원으로서 갯벌 블루 카본의 잠재력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송상근 해양수산부 해양정책실장은 ” 이번 연구는 세계 5 대 갯벌 중 하나인 한국 갯 벌이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녔다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 앞으로도 갯벌의 중요성을 국제사회에서 인정받아 한국 과학계가 국제 갯벌 블루카본 연구를 선도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 라 고 말했다 .

<저작권자 ⓒ 더뉴스프라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한열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