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22년도 우주개발에 지난해 대비 약 18.9% 증가한 7340억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 우리나라 우주개발 역사상 최초로 발사체·위성·우주탐사 등 3대 우주개발 영역을 모두 수행한다.
발사체는 누리호 2차 발사이며, 우주탐사는 우리나라 최초 달 궤도선 발사, 위성은 한반도를 정밀 관측하는 다목적 6호 위성·차세대 중형위성 2호 발사 등이다.
아울러 올해부터 우리나라 역대 최대 우주개발 사업인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을 본격적으로 착수할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5일 제40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영상으로 개최해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하는 ‘2022년도 우주개발진흥 시행계획’ 등 3개 시행계획을 심의·확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확정한 분야별 3개의 시행계획은 우주개발 진흥법에 따른 법정계획으로, 2018년 수립하고 2021년 수정한 제3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등의 이행을 위한 올해의 구체적 실행계획이다.
우주개발진흥 시행계획의 주요 내용을 보면 먼저 차세대 발사체 기술 확보와 민간 발사체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한 신규 사업을 추진한다.
차세대 우주발사체 개발에 적용될 100톤 급 고성능 액체로켓 엔진을 설계하고 제작기술 및 핵심 구성품 등을 선행 개발하며, 경쟁형 R&D 방식으로 민간 우주산업체가 주도해 소형발사체용 엔진을 개발하는 소형발사체 개발역량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지상 정밀관측을 통해 다양한 공공임무를 수행할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6호와 차세대 중형위성 2호를 올해 하반기 발사할 계획이다.
위성의 설계부터 본체 개발, 총조립 및 시험, 지상국 등을 모두 국내 독자 개발한 다목적실용위성 6호는 서브미터급 영상레이더(SAR)를 탑재해 날씨와 주야 구분 없이 지상관측이 가능하다.
아울러 국내 산업체 주도로 개발한 최초 위성인 차세대 중형위성 2호는 발사 후 재난재해 대응 및 국가 공간정보 활용 서비스 등 다양한 공공 영상을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올 하반기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우주탐사선인 ‘달 궤도선’을 우주환경 모사시험 등의 지상 테스트를 거처 발사한다.
달 궤도선에는 국내에서 제작한 감마선 분광기, 자기장 측정기, 우주인터넷 등 5개의 탑재체를 탑재하며, 함께 탑재하는 미국 나사(NASA)의 ‘쉐도우 캠(ShadowCam)’ 은 달의 음영지역 촬영을 수행해 국제적 우주탐사 계획인 아르테미스 계획의 착륙 후보지 탐색 등에 기여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역대 최대 규모의 우주개발사업인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개발 사업’도 올해 본격적으로 착수한다.
이를 위해 위성항법시스템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과 각 분야별 관계부처의 전문성을 고려해 범부처 역량을 모은 KPS 개발 사업 전담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다.
또 KPS 개발 사업 추진 등에 필요한 법적 근거 마련을 위해 (가칭)‘국가 통합항법체계의 개발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제정을 추진한다.
우주분야 국제협력과 민간 우주개발 역량 강화도 적극 추진하는데, 우주분야 국제행사를 국내에서 개최하고 주요 신흥 우주개발국을 대상으로 실무회의·워크숍을 개최하는 등 국제우주협력 네트워킹을 강화한다.
민간주도 우주개발 생태계 조성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우주인력 양성을 위한 정책으로 발사체 시장에 진출하려는 국내 기업의 발사체 시험을 지원하기 위해 신규 민간 발사장을 나로우주센터 내에 구축한다.
발사체 및 위성분야 기업 및 연구기관의 기술 협력 체계를 구축해 자생적 산업생태계를 조성하는 우주산업 클러스터의 예비타당성 검토를 올해 8월부터 진행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전략적 인력양성이 필요한 우주기술 분야를 선정하고, 산·학·연 컨소시엄에 기반한 5개 ‘미래우주교육센터’를 지정해 우주전문인력 양성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에서는 위성정보 활용 시행계획, 우주위험대비 시행계획 및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계획(안),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안), 미 국립해양대기청 태양풍 감시 위성의 수신국 구축·운영(안)도 함께 심의·보고했다.
우선 위성정보 활용 활성화를 위해 국가 저궤도위성의 통합적 관제·운영시설인 국가위성통합운영센터를 하반기에 열고, AI·빅데이터 활용 지원체계 개발 등 사용자 중심의 위성 운영·활용 지원체계를 구축한다.
기상예보, 재난재해 대응, 해양위성정보 서비스, 공간정보 서비스 등 기상·환경·해양·국토 등 다양한 분야에서는 국민생활과 안전에 기여하는 위성정보활용 서비스 제공을 확대해나간다.
특히 우주위험대비를 위해 미 우주군 주관 국제 우주상황조치 연합연습에 참가하는 등 우주위험대비 국제협력을 강화하고, 우주물체감시 관측 인프라 기술개발 사업 등을 통해 자체적인 우주위험 감시역량을 강화해나갈 방침이다.
한편 한국형발사체 고도화사업은 우리나라의 자주적인 우주임무 역량을 공고히 하고 민간의 역량이 강화되는 뉴스페이스 시장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의 후속으로 추진하는 사업이다.
발사 수요에 따라 누리호를 4회 반복 발사해 발사 신뢰성을 확보하고, 누리호 개발 기술을 민간에 이전해 국내 우주발사체 산업생태계를 육성·강화해나가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이와 함께 미 국립해양대기청의 태양풍 감시목적 위성의 지상수신국을 2024년까지 우주전파센터에 구축하고, 우주전파환경 예경보의 핵심 자료를 수집·처리·분배하는 내용도 함께 논의했다.
용홍택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올해는 누리호 2차 발사, 다목적 실용위성 6호, 차세대 중형위성 2호 발사와 달 탐사선(궤도선) 발사 등 국민의 관심과 기대가 큰 우주개발사업을 수행하는 중요한 해”라며 “국민들의 우주개발에 대한 열기가 이어질 수 있도록 정부 부처와 연구 기관들이 지속적으로 소통하고 협조해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도록 최선을 다 해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더뉴스프라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진수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