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만한 나무늘보가 파놓은 거대한 터널

  • 박현아

10,000년 전 브라질에 살았던 거대 포유류는 "팔레오버로우"라고 불리는 거대한 터널을 팠습니다. 그리고 그 터널을 파려면 발톱이 필요했습니다.



하지만 그 거대한 생물은 무엇일까요?  지질학 교수인 하인리히 프랭크는 브라질 노보함부르고의 건설 현장에서 밝혀진 신비한 터널을 기어가면서 스스로에게 던진 질문이었습니다.


프랭크는 그가 지금까지 본 어떤 지질학적 구조와도 달랐기 때문에 그 터널이 생물에 의해 파낸 것이 틀림없다고 추측했습니다.


 프랭크는 Discover에 "세상에 가지가 나고 오르락 내리락하며 벽에 발톱 자국이 있는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가진 긴 터널을 만드는 지질학적 과정은 없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거대한 생물이 무엇이든, 이 터널의 벽과 천장 및 그 지역에서 발견된 비슷한 크기의 다른 생물에 거대한 발톱 자국을 남겼습니다. 그 시점에서 교수는 천천히 뒤로 물러나서 건설 노동자들에게 몇 주 후에 돌아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히우그란지두술 연방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인 프랭크는 약속을 지켰다. 그는 결국 신비한 터널의 이름을 지정하고 발굴을 수행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동물을 식별했습니다. Novo Hamburgo의 터널뿐만 아니라 브라질의 수천 개의 다른 터널도 마찬가지였습니다.



프랭크는 2000년대 초에 첫 번째 터널을 찾았고 다른 과학자가 터널을 위해 "팔레오버로우"라는 이름을 만들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들의 존재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없었을 때, 이로 인해 그는 결국 진실을 알아내기 위해 더 많은 터널을 찾게 되었습니다.  


현재 프랭크와 다른 연구자들은 Rio Grande do Sul 주에서만 1,500개 이상의 터널을 발견했으며 산타카타리나에서는 수백 개 이상의 터널을 발견했습니다. 이 터널의 대부분은 수백 피트에 걸쳐 뻗어 있고 수많은 가지가 있으며 가장 큰 터널은 길이가 무려 609미터, 높이가 1.8미터, 너비가 최대 1.5미터입니다!


"이러한 굴에서 때때로 다음 곡선 주위에 어떤 생물이 기다리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것이 선사 시대 동물 소굴처럼 느껴지는 정도입니다. "라고 프랭크는 썼습니다.


결국 그는 고생굴이 매머드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선사 시대 육지 포유류인 거대한 땅나무늘보에 의해 파졌을 가능성이 높다고 확신할 수 있는 충분한 증거를 찾았습니다. 주요 증거는 위의 첫 번째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고굴의 벽에서 프랭크가 발견한 깊은 발톱 자국입니다.


이제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그것들이 거대 땅나무늘보에 의해서만 만들어졌을 수 있다는 데 동의하며 일부 다른 사람들이 제안한 것처럼 더 작은 거대 아르마딜로에 의해서도 만들어지지 않았습니다.



Megatherium americanum은 멸종한 자이언트 땅나무늘보의 학명입니다. 이름은 '미국에서 온 위대한 짐승'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4.6미터까지 뻗어 있고 대략 2,590kg의 무게가 나가는 이 생물에도 불구하고, 땅나무늘보 한 마리는 수명의 대부분을 이 팔레오버로우만큼 크고 광범위한 터널을 건설하는 데 전적으로 바쳤을 것입니다. 그래서 왜 귀찮게?


프랭크와 그의 팀은 광대한 동굴이 기후, 포식자 또는 습도를 피하기 위해 사용되었는지 확신하지 못하지만 그러한 설명조차 있을 것 같지 않습니다. 결국, 훨씬 더 작은 굴이 그러한 목적에 적합했을 것입니다. 그렇지 않습니까?


몇 명의 개인이 여러 세대에 걸쳐 굴을 물려받았고, 구조를 계속 추가하여 그렇게 거대하게 만들 수 있었습니까? 다시 말하지만, 이는 연구원들이 추가 관찰을 통해 확인해야 할 사항입니다.



아르헨티나의 Manuel Torres가 1787년에 발견한 최초의 M. americanum 화석은 원래 골격이 여전히 전시되어 있는 마드리드의 국립 박물관으로 운송되었습니다.


1796년 비교 해부학자 조르주 퀴비에는 Megatherium의 관계와 모양을 확인하여 나무늘보임을 확인했습니다. 처음에 그는 이 동물이 현대 나무늘보처럼 나무를 오르기 위해 거대한 발톱을 사용한다고 믿었지만, 나중에는 터널을 파는 데 사용되는 발톱으로 지하 생활 방식을 지원하는 것으로 가설을 바꿨습니다.


 최대 4톤의 무게에 달하는 살아있는 나무늘보 크기의 최대 10배였습니다(현재의 황소 코끼리와 비슷함).



거대한 발톱에도 불구하고 M. americanum은 채식주의자였습니다. 이것은 평생 동안 무엇을 먹었는지 밝혀주는 동물의 치아에 대한 화학적 분석을 통해 확인되었습니다. 그리고 그것은 또한 그것이 인간에게 더 쉬운 표적이라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예, Megatherium 화석에 잘린 자국이 발견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간과 겹쳤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것은 이 거대한 나무늘보가 수천 년 전에 메뉴에 있었고 멸종에 기여했을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지금까지 프랭크와 다른 연구원들은 동굴 내부에서 화석을 발견하지 못했고, 굴의 정확한 생성 연대를 더 정확하게 밝히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유기 물질이나 광물 퇴적물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퀘스트는 계속됩니다.


<저작권자 ⓒ 더뉴스프라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현아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