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경쟁력을 갖춘 경기도 산업단지를 만들기 위해서는 산단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혁신과 이에 따른 신 성장동력을 만들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도와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은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산업단지 특성별 혁신전략 연구 ‘경기도 산업단지 어떻게 살려야 하나?’를 추진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저부가가치 영세기업 입주, 성장동력 상실, 열악한 노동환경, 청년취업 기피, 공동화 현상, 노후화 등으로 경쟁력을 잃어가는 산단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정책적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뒀다.
연구에서는 시군 공장등록 데이터(7만500여개)와 산업단지 데이터(2016년~2019년)를 활용, 도내 산업단지를 크게 ▲4차산업연계형, ▲수출중심형, ▲대기업-중소기업 협력형, ▲노동집약형, ▲소규모영세형 등 5개 유형으로 분류해 산단 특성에 따라 혁신 방안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제조업 입지분석, 산업단지별 업종특화분석, 군집분석, 매트릭스분석, 시계열 분석 등의 방법을 활용했다. 도내 산업단지별 다양한 특성을 과학적 데이터 분석을 통해 연구한 것은 이번이 첫 사례다.
5개 유형별 혁신방안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우선 반월·시화 산단 등 제조업 중심의 산단을 판교테크노밸리와 같은 연구개발(R&D)이나 소프트웨어(SW) 중심의 산단과 연계해 해당 산업 간의 융합을 꾀해야 한다는 것이 ‘4차산업연계형’ 산단 혁신방안이다.
둘째, ‘수출중심형’에서는 수출중심기업들이 많은 산단들을 대상으로 원스톱 수출지원센터, 비대면 화상상담 및 브이알/에이알(VR/AR) 활용 전시시스템 구축, 글로벌 엑셀러레이터와 연계한 시장개척 및 투자유치 등의 지원을 펼쳐 포스트코로나에 대비한 경쟁력을 갖추도록 하는데 초점을 뒀다.
셋째, ‘대기업-중소기업 협력형’은 대기업에 중간재를 납품하는 중소기업들이 많은 산단을 중심으로 한 전략이다. 대-중소기업 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 상생협력 기술교육 등 수직적 분업관계를 수평·협력적 관계로 바꾸는데 힘써야 한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넷째, ‘노동집약형’에는 섬유·전자 등 노동력 기반 업체들이 모인 산단을 대상으로 기술개발(R&D) 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첨단산업으로의 업종전환, 산업재해 고위험 및 비효율 애로공정 디지털화, 일자리 플랫폼 구축 등을 추진해 산단 환경을 개선하고 노동력 이탈을 막아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다섯째, ‘소규모영세형’에서는 10인 이하 소규모 고용기업들이 집적된 산단을 대상으로 협동조합 조직, 공동 마케팅 및 시장개척, 기술개발(R&D) 플랫폼 구축 등을 통해 기업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제품의 첨단화를 꾀할 수 있는 기반을 다져야 한다는데 초점을 맞췄다.
아울러 이번 연구에서는 지역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산업단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거버넌스 구축과 제도개선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도출됐다.
먼저 국가산단과 달리 정부 차원의 관심과 지원이 적은 일반산단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들을 총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경기도 산업단지관리진흥원(가칭)’과 시군별 산단관리위원회 등을 설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또한 모든 산단을 동시에 혁신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므로, 각 특성별 시범단지를 선정해 효율적·전략적 지원을 펼쳐 산단을 지역경제의 중심(허브)으로 자리잡도록 힘써야 한다는 주장도 함께 나왔다.
이 밖에도 산단 밖 기업들의 산단 내 입주를 위한 지원 및 규제정책 마련, 4차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인재육성 및 연구개발 지원책 추진 등이 필요하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연구책임자인 전병선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과학이사는 “이번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산업단지 분석과 시․군별 제조업 분석을 바탕으로 산업단지 특성별 맞춤형 정책을 제시한 것”이라며 “이번 연구가 경기도 균형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송은실 경기도 산업정책과장은 “4차산업혁명과 더불어 제조업의 경쟁력이 중요해진 만큼, 이제는 산단을 제조업 혁신과 일자리창출의 거점으로 육성해야할 시점”이라며 “앞으로 산업단지 활성화를 통한 경기도 균형발전 전략에 이번 연구를 적극 활용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경기도에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13만2,785개(전국 30.3%)의 제조업체가 소재해 있고, 이중 21.7%인 2만9,086개 기업이 산업단지에 입주해 있다.
2018년 기준 경기도 산업단지 총 생산액은 약 209조7,000억 원으로, 경기도 총생산액(GRDP) 약 473조 8,000억 원의 44%를 차지하고 있다.
<저작권자 ⓒ 더뉴스프라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한열 기자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