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AI 데이터센터 열풍에 전력 효율성 높이는 냉각 솔루션 제시

  • 박현아
  • 발행 2024-06-25 13:40
AI 데이터센터 냉각 시장 규모 303억달러 전망… 전력 효율 위한 솔루션 필요


에너지 관리 및 자동화 분야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 슈나이더 일렉트릭(www.se.com/kr/ko , 한국지사 대표 김경록)이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데이터센터의 열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이 산업계의 새로운 열풍을 일으키며, 데이터센터에도 비상이 걸렸다. 24시간 안정적으로 가동돼야 하는 데이터센터는 막대한 전력 소비가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특히 중앙처리장치(CPU)·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연산 장치가 천문학적 분량의 AI 데이터를 연산할 때 내뿜는 열은 상상을 초월한다. 이에 데이터센터 총사용 전력의 약 45%가 데이터센터의 열을 식히는 ‘쿨링’에 사용될 정도로 중요한 요소로 꼽히고 있으며, ‘냉각 시스템’의 중요성도 그에 걸맞게 증가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냉각 시장은 매년 20~30%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5년 안에 40조원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글로벌 데이터센터는 국내의 36배 수준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각 데이터센터에 적합한 쿨링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에너지를 절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에 슈나이더 일렉트릭에서는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키고 안정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쿨링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프리쿨링 냉동기(Free Cooling Chiller)는 실외 공기를 활용해 간절기나 겨울철에 압축기의 기동을 최소화하고 팬과 펌프를 활용해 냉수 온도를 조절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공랭식 냉각 솔루션이다. 평균적으로 전력사용효율성(PUE)이 1.5를 넘는 전통적인 공랭식 냉동기에 비해 전력사용효율성을 1.2까지 낮출 수 있다. 이에 연간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해 데이터센터의 전체 운영비용(OPEX)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벽 자체를 팬으로 만들어 공기와 냉수 코일이 맞닿는 면적이 넓도록 설계해 전통적인 항온·항습기 보다 효율적인 쿨링이 가능한 빌트인 타입의 팬 월(Fan Wall)도 선보인다. 이는 200kW~최대 500kW 범위까지 전력을 수용할 수 있으며, IT 전산실과 기계실을 구분해 사용할 수 있어 보안 유지에 더욱 적합하다.

이 밖에도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데이터센터에서 사용되는 전력을 모니터링하고, 온도를 측정해 통합적인 에너지 효율 관리가 가능한 쿨링 옵티마이저(Cooling Optimizer) 솔루션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IT 장비(랙)의 온도를 측정하는 센서와 이를 모니터링하는 소프트웨어(SW)로 구성됐으며, 데이터센터 내의 IT 부하에 필요한 만큼의 냉각을 최적으로 조절해 전력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돕는다.

슈나이더 일렉트릭의 쿨링 옵티마이저 솔루션을 활용할 경우, 데이터센터 운영 조건 및 환경에 따라 냉각 전력 사용량 및 탄소(CO2) 배출량을 절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센터 전력 비용 절감과 PUE를 개선할 수 있으며, ESG 경영에 부합하는 데이터센터 운영이 가능하다.

슈나이더 일렉트릭 코리아 시큐어파워 사업부 최성환 본부장은 “AI가 새로운 트렌드로 떠오른 현재, 데이터센터의 열 관리를 통한 에너지 절감은 필수요소로 자리잡고 있다”며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다양한 쿨링 솔루션을 통해 데이터센터의 운영 비용 절감은 물론, 에너지 효율 및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데이터센터에 적용되는 냉각 솔루션뿐 아니라 장비 사후 관리까지 가능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해 고객사의 지속 가능한 데이터센터 운영을 위해 함께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더뉴스프라임,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현아 기자 다른기사보기